호두재배

"조실성박피 호두나무 갈색썩음병(Walnut blight)

호두마왕 2024. 6. 3. 11:43

호두나무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나무 밑둥부터 호두나무 가지, 호두열매,

호두나무잎 까지 까맣게 마르며 썩어들어 가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잎과 열매등에 갈색 반점이 생기고, 가지와 줄기에는 궤양이 생기며, 썩어 들어가는 동시에

둥글게 오그라지는 현상이 나타 나기도 한다.

호두나무 갈색썩음병은 전세계 호두가 재배되는 나라에서 발생하며, 대한민국은

1996년도 하반기에 관리병으로 지정 되었으며 2016년 6월경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처음 발견되기도 하였다.

⑴ 병해충 특성

⊙ 학명:Xanthomonas arboricola pv. juglandis

❍ 병균 > 세균 > Gammaproteobacteria > Xanthomonas

❍ 이명: Bacterium juglandis, Phytomonas juglandis,

             Pseudomonas juglandis, Xanthomonas campestris pv. juglandis,

             Xanthomonas juglandis

❍ 일반명: 호두나무갈색썩음병(Walnut blight)

⊙ 검역구분 :관리병

❍ 1996년 하반기 관리병으로 지정

❍ 수입식물 검역과정에서 검출실적 없음

❍ 2014년부터 격리재배 과정에서 27건(148천개) 검출

⑵ 생태적 특성

❍ 본세균은 가지 및잔가지의 궤양부위에서 월동한다.

❍ 봄에 바람에 몰아치는 빗방울, 화분 및 곤충에 의하여 건전한 감수성 나무로 전파된다.

❍ 전개되는 잎과 신초의 기공, 피목, 상처를 통하여 침입하며 때로는 꽃에 감염하여 개화 기

    끝날무렵에 열매로 침입하기도 한다.

❍ 새로 돋아나는 잎과 신초조직을 통하여 감염이 확산되어 감염부위에 줄무늬가 생기고 나중에는

    가지 전체가 흑색으로 변하며 오그라든다.

❍ 감염이 계속되면 가지와 잔가지가 고사한다. 그러나 굵은가지가 감염 되면 병진전이늦다

⑶ 피해증상 및 부위

⊙피해증상

❍ 봄과초여름에걸쳐서잎, 신초, 열매에갈색내지흑색의병반이형성된다.

❍ 잎의 반점이 합쳐져서 기형이 되고 죽은 조직이 떨어져 나가서 감염 잎은

누더기 모양이 된다.

❍ 감염이 잔가지까지 확장되어 가지의 고사를 초래하고 궤양의 형태로 큰 가지까지

진전된다.

❍ 조기 감염된 열매는 성숙기까지 달려 있지 못하고 낙과하나, 생육후기에 감염되면

싱싱하고 먹을 수 있는열매가 달린다.

⊙ 피해부위

❍ 과실, 생장점, 꽃, 잎, 종자, 줄기 등

 

010 5424 1444